강씨가 인근 강물로 침수된 깨밭을 바라보고 있다. 임성민 기자지난 사흘 동안 300㎜가 넘는 집중호우가 쏟아진 충북지역에서도 피해가 커지고 있다.
특히 폭우로 강물이 범람하면서 논과 밭이 진흙탕으로 변한 농가들은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속수무책인 상황이다.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호계리의 한 농가.
애호박과 깨 등을 기르고 있는 강경순(69·여)씨는 수확을 불과 20여 일 남겨두고 하루아침에 농사를 망쳤다.
16~17일 이틀 동안 엄청난 비가 쏟아지면서 인근 병천천이 불어나 강씨의 비닐하우스 13개 동과 논밭을 덮쳤기 때문이다.
하우스 바닥은 누런 진흙으로 가득 차 있었고, 애호박과 깻잎은 성한 곳을 찾기 힘들 정도다.
창고에 보관 중이던 농기계까지 물에 잠기면서 진흙더미를 치울 엄두조차 못 내는 지경이다.
강씨는 "어제 아침 8시쯤부터 물이 들어차기 시작해 순식간에 무릎까지 차올라 간신히 몸만 피했다"며 "이게 우리 생활의 전부인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다"고 토로했다.
강씨가 강물에 침수된 깻잎을 들어 보이고 있다. 임성민 기자 강씨는 농기계 부품 하나라도 더 건져내려고 분주하게 손을 놀리면서도 이날 밤부터 다시 많은 비가 내린다는 소식에 그저 한숨만 내쉬었다.
인근 농가 역시 상황은 마찬가지다.
환희1리에서 애호박과 고추, 토마토를 재배하고 있는 김모(70대·여)씨는 침수된 농작물을 보여 망연자실했다.
김씨는 "올해 초부터 애지중지 기른 자식과 같은 농작물인데 단 하루 만에 쑥대밭이 됐다"며 "차라리 꿈이었으면 좋겠다. 눈앞이 깜깜하다"고 눈물을 보였다.
충청북도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기준 청주와 증평, 진천, 괴산, 음성 등 5개 시·군에서 모두 141.23ha 규모의 농경지 피해가 접수됐다. 축구장 약 200개와 맞먹는 규모다.
강물로 인해 진흙 범벅이 된 애호박 재배 현장. 임성민 기자도로 침수와 제방 유실 등 관련 피해도 잇따르고 있다.
지난 16일 오후 6시부터 이날 오후 4시까지 충북소방본부에 접수된 피해 신고는 모두 287건이다.
도로 침수 114건, 나무 쓰러짐 80건, 배수불량 65건, 토사유출·낙석 9건 등이다.
청주기상지청은 청주·보은·옥천·영동·증평·음성·진천 등 7개 시·군에 호우주의보를, 나머지 4개 시·군에는 19일 새벽 0시부터 호우예비특보를 발령했다.
이번 비는 19일까지 도내 전 지역에 50~150㎜가량 더 내릴 것으로 예보됐다. 일부 지역은 곳에 따라 200㎜ 이상 많은 비가 내리겠다.
청주기상지청 관계자는 "내일 오후까지 시간당 30~50㎜의 매우 강하고 많은 비가 내리는 곳이 있겠다"며
산사태와 제방 붕괴, 시설물 침수 등 각종 안전사고에 각별히 유의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