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제공최근 공무원을 사칭한 사기 범행이 기승을 부리고 있어 큰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공문서와 직인을 위조하거나 심지어 실제 자치단체장의 SNS 계정까지 도용하는 등 사기 수법은 날로 교묘해지고 있다.
이범석 충북 청주시장의 몇몇 지인들에게는 1일 오후 의아한 메시지가 전송됐다.
이 시장이 돈이 급하다며 금전을 요구했기 때문인데, 이 메시지는 이 시장의 텔레그램 계정이 해킹당하면서 주변 지인들에게 보내진 사기 문자였다.
청주시는 이 시장이 텔레그램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악성 프로그램이 설치된 것으로 보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사칭 사기는 날로 교묘해지고 있다.
과거에는 검찰 수사관 등을 사칭해 겁을 주는 보이스피싱 수법이었다면, 최근에는 관공서 납품이나 회식 등에 목이 마를 수밖에 없는 자영업자들을 노리고 있다.

법무법인 유안 유달준 변호사는 "보이스피싱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경각심을 갖고 있다"며 "하지만 지금은 의심을 넘어 확신을 갖게 하기 위해 가짜 공문서를 꾸미거나 정부부처를 사칭한 사이트를 만드는 등 사기 범행이 더욱 교묘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사칭 사기는 계속 진화하고 있는 반면 이에 대한 차단책 마련 등 대응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라며 "관련 사례를 적극 수집·공유하는 등 관계 기관의 능동적이고 선제적인 대책이 시급해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 5월 제천에서는 시청 공무원을 사칭한 범행으로 한 유통업자가 2억 5천여만 원을 사기당하는 일이 발생했다.
도청과 각 시·군청은 물론 지역 군부대나 소방서 등 모든 관공서가 사칭 사기 범행에 노출된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
사기범들은 지자체 로고와 양식을 도용해 서류와 명함 등을 만든 뒤 공무원 행세를 하며 계약금을 요구하거나 물품 대리 구매를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