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제공오는 6월 3일 치러지는 조기대선을 앞두고 KTX세종역 신설 논란이 또다시 충북지역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역대 정부의 거듭된 불가 방침에도 불구하고 논란이 재점화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일 충북지역 정가 등에 따르면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경선 후보는 전날 오전 최민호 세종시장과 간담회에 자리에서 KTX세종역 신설 재추진 의사를 밝혔다.
김 후보는 "공무원들이 서울에 갔다가 정부세종청사로 복귀할 때는 꼭 오송역에 내려서 차를 타고 와야 한다"며 "세종에 고속철만 바로 다니면 1시간 내로 다 소통이 되기에 국회나 대통령실이 설치돼도 불편한 것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충청북도는 즉각 입장문을 내고 "KTX세종역 설치는 기술적으로 어려울 뿐 아니라 안전성, 경제성에서도 문제가 있다"며 "향후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가 구축돼 개통되면 세종과 오송역 간 접근성이 더욱 향상될 것인 만큼 KTX세종역 설치의 필요성은 더욱 없다"고 반발했다.
그러자 김 후보자도 같은 날 오후 충북도청에서 김영환 충청북도지사와 만난 뒤 KTX세종역 신설과 관련한 취재진의 질문에 "KTX세종역 신설보다 충청광역급행철도(CTX) 구축이 시급하다"고 답했다.
KTX세종역 신설 재추진에 대한 논란이 일자 한발 물러난 모양새이다.
해묵은 KTX세종역 신설 논란은 벌써 10여년 전부터 선거 때마다 지역 분란을 일으켰던 사안으로, 이미 국토교통부도 안전성 문제 등을 이유로 수차례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지난 달 27일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에 이어 이튿 날에는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서 탈락하기는 했지만 안철수 의원도 KTX세종역 신설을 약속하면서 또한번 논란에 불을 붙였다.
사정이 이렇자 균형발전지방분권 충북본부 등 지역 8개 시민사회단체들은 최근 발표한 '21대 대선 충북발전 의제'에 KTX세종역 신설 백지화를 포함시켜 각 후보자와 정당에 정책 공약 채택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들은 "KTX세종역 신설은 국가균형발전의 거점도시로 건설되는 세종시 건설 목적과 계획에 정면으로 역행하는 것"이라며 "지독한 지역이기주의와 인기영합주의에 편승해 KTX세종역 설치를 공약으로 제시하는 후보와 정당에게는 강력한 낙선운동도 불사하겠다"고 경고했다.